글과 덧상

현충일 추념시 / 이민영

LEE MIN YOUNG 2007. 6. 5. 13:30


    현충일
    (임이 남기신 얼을 기리며)--이민영



    부르시기에 달려가니
    그 자리는 처럼 이 되셨습니다

    손짓하기에 달려오니
    배달 임이 되셔서
    한 할아버지 되셔서
    드리워진 지킴 속 타들어간 열정으로
    얼로 맑아진 혼절이
    말씀으로 하늘 땅에
    점점이 임의 빛 임의 사랑입니다

    세월이 날마다 바람 안 임의 소리인지라
    나라라는 들녘이 강가에 온 듯
    임이 걱정하는 우수도 들리는 듯하여
    사립 밖 햇살 가닥에 임의 이야기 적습니다

    세상 곳곳 새 빛깔같이 아침인 듯

    별 초롱 초롱하여 구슬인 듯

    한 세상
    제 어버이 이소서

    안 저희 평안 하오니
    하얀 치맛자락 살랑살랑
    오색 겹동하늘 하늘하늘 우리 임을 마중 합니다
    버선코 세워 저고리 깃 고치어
    임이어라 가슴에 새깁니다
    기루리라 눈 안에 모십니다
    방방곡곡 말씀으로 청량하여
    행복 합니다


              (李旻影시인. 2007.6.6 현충일에.한국사시문학회장)

         

현충일에 대하여.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고 순국 선열 및 전몰/군.경.장병의
숭고한 호국정신과 위훈을 추모하는 행사를
하는 기념일.
매년 6월 6일이며,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
국가가 존재하는 데에는 상당한 전란을 거치게 되어 있고,
모든 국가는 그 전란에서 희생된 자를 추모하는 행사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48년 8월 정부수립 후 2년도 채 못 되어
 6·25동란을 맞았고 이에 40만명 이상의 국군이 사망하고

 남북 양측이 합한다면 100만이 넘는다. 
1953년 휴전이 성립된 뒤 3년이 지나 어느 정도 안정을 찾아가자
정부는 1956년 4월 대통령령 제1145호로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건〉을
개정하여 매년 6월 6일을 현충기념일로 지정하여 공휴일로 하고
기념행사를 가지도록 하였는바, 현충기념일은 통상적으로
현충일로 불리다가 1975년 12월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어 공식적으로 현충일로 개칭되었다.
국가보훈처가 주관이 되어 기념행사를 행하는데 서울에서는
국립 현충원에서 행해진다. 추모 대상은 6·25동란에 전사한 국군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하여 일제 치하 독립 운동에 목숨을 바친,
해방후 나라를 보전키 위하여, 월남전에서, 기타 전장에서,
공무수행중, 전투 중, 국가방위 중, 국가 치안 유지중,
민생을 보존하는 중,  순국 순직하신
조국 "대한민국의 이름"으로 다치고 숨져가신 "모든 선열의 넋"을 기리고 있다.
현충일은 이러한 선열의 넋을 기리고 그 유가족을 위로하고
국민이 각자가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해 행하여야 할
사명을 새롭게 하고, 국민 전체의 화합과

 "배달민족의 한국"이라는 국가의 "계속성

영속성을 다지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 시인-이민영]


[칼자국 난 두개골…임진왜란 '동래성 전투'  조선군 유골]


주인 잃은 갑옷과 400여 년이 지나서도 칼자국이 선명한 두개골, 그리고 곳곳에 널린 화살촉과 칼들 임진왜란 당시 동래성에서 조선군과 왜군 간에 벌어진 치열한 전투를 생생하게 증언하는 유물이 발굴됐다.경남문화재연구원(원장 박동백)은 5일 “부산시 동래구 수안동 204의 2 동래성 해자(垓子·방어를 위해 성 주변에 둘러 판 못)에서 조선시대 철제 찰갑(札甲·비늘갑옷)과 칼 3점, 화살촉 20여 점, 그리고 인골 다섯 구를 발굴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함께 출토된 자기 조각이 16세기 후반 것이라서 발굴된 유물들도 임진왜란 당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해자는 임진왜란 개전 초기 동래성 부사 송상현이 일본군 선봉장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를 맞아 지휘소를 설치했던 남문에서 50m 정도 떨어진 곳이다. 다섯 구의 인골 중에는 칼을 세 군데나 맞아 깨지고 상처가 깊게 난 두개골도 있었다. 발굴된 철제 찰갑에서 사람 뼈는 확인되지 않았다.
동래성은 임진왜란 초기인 1592년 4월, 정발이 지휘했던 부산진성에 이어 함락당했다. 송상현은 왜군에게 포위된 뒤 도망칠 것을 권하는 부하들에게 “지금 성 밖으로 빠져 나간다고 해도 어디로 간단 말이냐”며 남문에서 팔짱을 끼고 앉아 의연히 죽음을 맞았다. 이 때문에 적장조차도 송상현을 높이 샀다고 조선왕조실록은 선조25년(1592년) 11월 25일조(條) 등에서 여러 차례 그를 기렸다.

 

기미년 만세 운동과 이를 총칼로 탄압한 일본 헌병대

 


33인 민족지도자의 회합

 

 

 교실이 불타고 일터로 나간 엄마를 대신해 동생을 데리고

학교 운동장에서 수업을 받는 소녀의 모습.


 


 

 원산 시가지 전투.(1951년)

 얼음이 둥둥 떠내려 가는 차가운 강물을 건너는 부자의 모습.(1951년 1월)

 

월남전에 피병된  한국군

(서해교전 순국자)

 


국가 치안유지의 경찰의 모습


 

(동계훈련 중인 국군 병사들 )


사진과 음악제공--국방부. 연합뉴스자료집."딱부리세상-보물섬" (추념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