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의 편지-李旻影
11월 입니다.
산천이 여름의 닻을 내리고
산천으로 되돌아 와
그 만큼의 거리에서
가을과 가을의 이별이었던
여름날의 인연을 노래합니다
지난날 만남은
꽃술이 흐느끼던 목대의 울림 안
여운이기도 하였고
아련하였으되 여린 기억들은
이파리의 숨이 되기도 하면서
우리들과 우리들은
웃음 웃는 춤이 되어
어깨 동무로 그대를 맞이합니다
두고온 삶의 한 켠을 못잊어
木馬가 된 그대의 詩人은
빗살로 내린 生의 그녘에 다가가
스스로 떨어지는 별을 헤는 淑女에게
오늘
이 편지를 씁니다
아무도 없는 시선들과 그 공간에 투시된 눈동자는
그대의 어제를 닮아가는
나를 음미하면서도
나의 하루는 속절없는 이름이 되어
계절 속으로 달려갑니다
수도 없는 그리움의 파문들이
별 만큼 가득해버린 지금, 공간은
비어짐을 향하여
나타샤의 이름을 부르는 백석이 되어
흰눈처럼
푹푹
그리움을 채워갑니다
언제인가 오려던 가을이 왔는 데도
딴은 어찌할 수 없는 기억의 저 편은
하늘 가에 있었고
이 가을이 가려는 데도
님의 모습은 가을 그 자리를
떠나질 아니합니다
그 가상자리엔
"그대란 이름의 침묵이 잠든" 사각 공간을 지나
11월을 向하여 물줄기로 내립니다
제 눈망울에 옹기종기 모인 언어들은
손을 맞잡고 그대의 詩가 됩니다
사랑한다면 얻을 수 있다는
날들의 하얀 이야기도
이제는 그대의 그대가 됩니다.
"함께 함"으로 빛날 수 있다는
生의 어진 교훈도
"그대가 있었음"으로
사랑할 수 있는 우리는 서로의 추억이자
서로의가슴이 되어 갑니다.
기도는 '별들로 익어가는 누런 이삭'만큼
부끄러운 애원이 됩니다.
숙명은 기다림보다도 더한
그대를 넘어서
초혼招魂의 한녘을 오가는 生의 길일텐데
그도
그대가 있었으므로 그릴 수 있는
한 사위일 뿐입니다.
나의 정성은 사연이 되어
"편지"가 됩니다.
그리고는 불현듯
박인환의 木馬와 나는
뚝뚝 떨어지는 별들을 모아
소녀少女와 같이 음미합니다.
하루 스물 네 시간도 부족하여
스물 다섯 시간의 소곤거림 속에서
이제는 숨 쉬는 것조차 닮아가는
내淑女와 같이 합니다.
결이 고와
기억하고싶은 밤입니다.
"가난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오늘 밤은 푹푹 눈이 나린다....
![](http://www.kcaf.or.kr/art500/parkhongchun/y90/images/g9042.jpg)
..
나타샤를 사랑은 하고
눈은 푹푹 날리고
나는 혼자 쓸쓸히 앉어 소주를 마신다
소주를 마시며 생각한다
나타샤와 나는
눈이 푹푹 쌓이는 밤 흰 당나귀 타고
산골로 가자 출출이 우는 깊은 산골로 가 마가리에 살자
눈은 푹푹 나리고
나는 나타샤를 생각하고
나타샤가 아니올 리 없다
언제 벌써 내 속에 고조곤히 와 이야기한다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이 아니다
세상 같은 건 더러워 버리는 것이다
눈은 푹푹 나리고
아름다운 나타샤는 나를 사랑하고
어데서 흰 당나귀도 오늘밤이 좋아서 응앙응앙 울을 것이다..라고
"백석의 나타샤"가 "나의 나타샤"가 된 그대의
"흰 당나귀"를 생각하는 것이며
/
박인희 처럼 오늘은 더욱, 박인환의 목마와 숙녀를 암송하는데,
.......木馬는 하늘에 있고 방울 소리는 귓전에 철렁거리는데
가을 바람 소리는 내 쓰러진 술병 속에서 목메어 우는데"
詩人은 우는데"
................
사랑스러운, 사랑하는, 사랑도 추억이 되려는
아릿따운 서글픔이 교차하는 11월,
그래서 더욱 황홀한 離別들이
"쓸쓸함"으로써
제 몸과 세상을 데우는
늦을 녘 동편에서 진리처럼 독백하면서도
"追憶의 고독까지도 마냥 그리워하겠노라" 11월로 옵니다.
사랑은 더욱더 비워지면서도 채워지는 그대가 됩니다.
늦 가을을 가슴에 매달고 달려가기엔
11월이 작아지는 이 밤
떨어지는 가을을 담습니다.
그대의 그대
(사랑의 한국詩人-이민영李旻影 에세이 2113 에서)
(백석과 박인환의 詩를 읽고 에서)
/